반응형

공시에서 말하는 증자란 기업의 일정 금액의 자본금을 증가시키는 행위를 말하며 주식회사의 주식 총수를 늘려서 자본금을 늘리는 것으로, 크게 유상증자와 무상증자로 나뉩니다. 이번 시간에는 증자의 목적과 종류 그리고 그에 대한 효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증자의 목적과 종류 그리고 효과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는데, 그 첫 번째로는 자금을 빌려오는 차입이 있습니다. 이는 돈을 빌려오는 것이기에 부채로 표현되며, 원금과 이자의 반환이 필요합니다. 두 번째로는 주식을 발행해서 회사의 일정 부분의 권리를 주고 투자를 받는 방식으로 첫 번째와 다르게 자본으로 표시됩니다.

 

유상증자와 무상증자 썸네일
유상증자와 무상증자

증자의 목적으로는?

주로 회사의 운영자금이나 시설 자금조달, 부채상환, 재무구조개선, 경영권 안정 등이 있습니다. 신주의 매입하는 조건의 유상증자와 주식을 무료로 나눠주는 무상증자로 나뉘며, 지금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상증자란?

기업이 자본금 확보를 위해 신주를 발행하여 투자자에게 판매하는 것으로 회계학에서는 재무상태표의 자산이 증가하기 때문에 실질적 증자라고 표현합니다.  유상증자를 시행할 경우 주식수가 늘어나 주가가 희석되어 악영향을 끼치고, 운영자금조달 시에는 경영악화가 예상되어 전망을 매우 부정적으로 판단하기도 합니다만, 유상증자 자체를 보기보다는 그 배경에 초점을 맞춰 보는 것이 좋습니다.

 

유상증자의 3가지 방식

 

* 주주배정방식

기존 주주한테 신주인수권을 주어 돈을 납입시켜 증자를 하는 방법으로 사실 가장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단, 회사의 전망이 좋다는 전제하에..

 

* 일반공모방식

그 회사의 주주가 아니라 일반 대중한테 기업 공개하듯 주식을 공모하며, 기존 주주에게 주는 우선권 없이 일반투자자에게 공개 모집하는 방식으로 기존 주주들은 매우 싫어합니다만, 그 이유에 대해서는 본인이 갖고 있던 주식 가치가 희석되기 때문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기존 주주들이 회사의 신주를 사주 않을 것 같을 때  곧, 다시 말해서 신뢰를 잃었을 때 회사가 선택하는 방식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 제삼자 배정방식

기존 주줄 제외하고 경영진이 이해관계가 있거나 어떤 특수한 제삼자를 정해 이를 대상으로 증자하는 것을 말하며, 믿을 수 있는 사람이면 좋은데, 상장폐지를 모면하려는 케이스로 실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중소기업이 대기업에게 3자 배정 유상증자를 하면 호재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유상증자의 효과

유상증자는 시가총액은 동일하고 전체 주식수만 늘어나 주가가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기존 주주의 권리와 재산이 훼손되는 것으로 생각하기에 악재로 분류되는데 그렇기에 유상증자를 하는 기업은 단기적으로 반짝하고 주가가 오르는 경우도 있지만 장기적으로 하향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유상증자는 실질적인 자본 증가 효과가 있기에 어떤 경우에는 장기적으로 호재가 되기도 하지만, 유상증자를 자주 하는 기업은 기업의 재무안정성이 취약하다는 이야기도 되므로 이런 경우는 상당한 악재로 보아야 합니다.

 

단, 사업에 투자하기 위한 자금 확보 등의 목적이 될 경우에는 기업이 시장 경쟁력을 가진다면 호재로 볼 수 있습니다.

 

 

무상증자란?

무상증자란 주주에 의한 새로운 자본금 납입 없이 이익잉여금의 돈을 자본금으로 옮기는 과정으로 자기 자본=자본금+이익잉여금 이므로 자기 자본의 변화는 없지만, 잉여금을 자본금으로 옮기는 것은 재무구조가 건전하다고 인식하며 유상증자와 달리 형식적 증자라고도 불립니다.

단, 우리나라에서는 무상증자 중 이익잉여금을 자본금으로 전입시키는 것을 주식배당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세법상 주식배당은 주주 입장에서 배당소득세를 내야 하기 때문에 기업은 배당소득세와 무관한 무상증자로 주식배당을 대신하기도 하며, 주식배당은 4월에 받을 수 있지만, 배당형 무상증자는 1월에 미리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도 합니다.

 

무상증자의 효과

무상증자는 일반적으로 호재로 생각을 합니다. 주주에게 무료주식을 나눠주며 보유주식수가 늘어나게 되는 주주들에게는 당연히 좋은 일이 되는 것입니다. 무상증자를 한다는 것은 그만큼 회사의 이익잉여금이 많다는 뜻으로 해석되기 때문에 시장에서는 해당 기업의 재무구조가 건정하다는 신호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무상증자는 단기적으로 주가를 높인다고 대부분이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증권 전문가들은 단기 호재, 장기 악재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지금까지 간단하게 유상증자와 무상증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두 가지 방법 모두 회사의 가치를 키워 수월한 투자를 위함이라는 점 알고 계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반응형